국민연금 납입 이력이 한 번이라도 있다면 주부든 농부든 누구나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고, 후에 이 연금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열심히 벌어서 국민 연금을 납부함으로써 노후에 투자하고 있다. 내 국민 연금 납부이력과 예상 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민연금 조회하는 법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간단하게 두 가지 방법으로 조회가 가능하다. 일단 인증 없이 조회하는 방법과 인증 후 조회하는 방법이 있는데, 인증 없이 조회하고자 하면, 소득과 가입기간을 입력하면 예상 연금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내 연금의 조회를 위해서는 인증 후 조회를 신청해야 하는데 이때는 "공인인증"이 필요하다.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공인인증 받는 법
1. 인증이 필요한 연금 서비스를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오고 이때 공인인증 화면이 나타난다.
2. 본인인증에 필요한 여러 가지 인증방법 중에 나는 네이버 인증을 선택했다. 네이버 아이콘을 선택하고 '간편 인증' 입력란에 내 정보를 입력한다.
3. 내가 지정한 네이버 메일로 인증메일이 도착한다.
4. '제 3자 제공 전체 동의'를 선택해 주면 화면 맨 아래로 '인증하기' 버튼이 활성화된다.
5. 인증버튼 클릭 후에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확인으로 본인임을 인증한다.
6. 인증이 확인되면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 되어 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7. 인증완료 후 자동 로그인 완료.
예상연금액 조회
국민연금공단 웹사이트의 홈 화면에 '연금예상액 조회' 버튼을 클릭하고 들어가면 내 연금수령 납입 이력과 수령 예상일, 예상금액의 현재 가치와 수령 시 미래 가치 등이 상세히 정리되어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혹은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있는 "마이페이지" 에 들어가면 내 연금 납입 이력과 연금 예상월액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그동안 내가 납부한 국민연금의 총액과 납부 개월수도 확인할 수 있다.
보안 인증 후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나의 국민 연금 예상 수령액은 현재 가치로 산정된 금액이며, 현재 소득으로 만 60세 또는 연금수급 가능시까지 계속 납부한다는 가정하에 계산된 금액이다. 또한, 현재 납부중이 아닌 경우라면, 현재까지 납부된 내역만으로 예상연금액을 표시한다.
'푼돈모아 목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방비 절약하는 꿀팁 8가지과 주의사항 (0) | 2023.10.17 |
---|---|
중계형 ISA 계좌로 주식거래하는 방법 (0) | 2023.09.02 |
옷장도 정리하고 헌옷은 판매하고, '코너 마켓' (1) | 2023.08.29 |
한달 5,000원 앱테크하고 지구도 살리는 '탄소중립포인트' 생활실천 가이드 (0) | 2023.08.28 |
한달에 만원이상 돌려받는 '알뜰 교통 카드 할인' 혜택 알고 계신가요?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