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그것도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것은 당연히 구글애즈에서 광고를 받아 조금이라도 수입을 내고 싶은 사람들의 행위이다. 그러면 같은 시간을 활용하여 쓰는 글이라도 조금 더 효과적일 필요가 있는데,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웹사이트 및 블로그의 트래픽과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고 추적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아래는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내 블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을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사용하기 전에 구글 애널리틱스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어떤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지 전체적인 구도에 대해 알아보자.
구글 애널리틱스란?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웹사이트 및 앱의 트래픽 및 사용자 동작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무료 웹 분석 서비스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면 웹사이트 또는 앱의 성과를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다.
트래픽 모니터링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사이트 또는 앱에 방문한 사용자의 수, 페이지뷰, 세션, 이탈률 등과 같은 트래픽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사용자 동작 분석
사용자가 웹사이트 또는 앱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추적하며, 이를 통해 어떤 페이지에서 이탈하거나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지 등을 이해할 수 있다.
목표 및 전환 추적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웹사이트의 목표와 전환을 설정하고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매, 이메일 가입, 양식 제출과 같은 중요한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분석할 수 있다.
트래픽 소스 분석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트래픽의 소스를 추적하고 분석하여 검색 엔진, 소셜 미디어, 광고 캠페인, 직접 방문 등 각 트래픽 소스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행동 히트맵 및 이벤트 추적
웹사이트의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클릭과 스크롤 패턴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히트맵을 생성하고, 특정 이벤트(예: 동영상 재생, 버튼 클릭)를 추적할 수 있다.
사용자 세분화 및 보고서
구글 애널리틱스는 사용자를 다양한 기준으로 세분화하고, 사용자 그룹에 따라 보고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행동을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바일 앱 분석
모바일 앱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모바일 앱의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사이트 운영자, 디지털 마케터, 웹 개발자 등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웹사이트와 앱의 성과를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구글 애널리틱스는 무료로 제공되는데, 사용자들은 계정을 만들고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 분석 단계
1.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 설정
구글 계정을 기반으로 애널리틱스 웹사이트에 로그인한다.
계정에 블로그 웹사이트를 추가하고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추적 코드를 생성한다.
2. 웹사이트 추적 코드 추가
생성된 추적 코드를 블로그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 추가해야 한다. 이 코드는 웹사이트 방문자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티스토리에서는 '스킨편집'으로 들어가서 <head>와 </head> 사이에 삽입하면 된다.
3. 데이터 수집 확인
추적 코드를 웹사이트에 추가한 후에 구글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로 돌아가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집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대략 24시간 정도 소요된다.
4. 보고서 탐색 (Report Exploration)
구글 애널리틱스의 핵심적인 역할 중 하나는 다양한 보고서를 통해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의 트래픽과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는 기능이다. 아래에 구글 애널리틱스의 주요 보고서와 이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알아보자.
- 대시보드(Dashboard): 대시보드는 웹사이트 트래픽 개요와 주요 지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대시보드는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며, 특정 정보에 집중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 실시간(Realtime): 이 보고서는 현재 웹사이트 방문자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준다. 실시간 보고서에서는 방문자 수, 페이지뷰, 유입 경로, 지역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오버뷰(Overview): 오버뷰 보고서에서는 웹사이트의 기본 트래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페이지에서는 세션, 페이지뷰, 이탈률, 페이지 성과 등의 확인이 가능하다.
- 사이트 콘텐츠(Site Content): 이 보고서에서는 웹사이트의 가장 많이 본 페이지, 인기 있는 콘텐츠, 이탈 페이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획득(Acquisition): 획득 보고서에서는 트래픽 소스, 광고 캠페인, 검색 키워드 등을 분석하여 어디서 방문자가 온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 행동(Behavior): 행동 보고서에서는 사용자의 행동과 사이트 내 비주얼리제이션, 사이트 속도, 사이트 검색 등을 분석한다.
- 변환(Conversions): 변환 보고서에서는 웹사이트의 목표 달성과 전자상거래 변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5. 사용자 정의 보고서 (Custom Reports)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자 정의 보고서를 만들면 원하는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보고서를 생성 단계를 알아보자.
- 사용자 정의 보고서 탭으로 이동: 구글 애널리틱스 대시보드에서 "보고서" 탭 아래에 있는 "사용자 정의 보고서"로 이동한다.
- 새 보고서 생성: "새 보고서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 보고서 세부 정보 설정: 보고서의 이름, 보고서 유형 및 데이터 출처를 설정한다.
- 매트릭스, 차트 및 차원 추가: 보고서에 포함할 매트릭스(지표), 차트 및 차원(차원)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 보고서 저장: 설정을 완료한 후 "보고서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 정의 보고서를 저장한다.
- 사용자 정의 보고서 사용: 이제 사용자 정의 보고서를 대시보드에 추가하거나 필요한 시점에 보고서 탭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보고서를 만들면 고유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의 성과를 개선하고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6. 목표 설정
웹사이트의 목표를 정의하고 구글 애널리틱스에 목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 구독, 판매, 양식 제출 등이 목표가 될 수 있다.
7. 경고 설정
웹사이트의 중요한 지표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고를 설정하여 알림을 받을 수 있다.
8. 데이터 공유 및 보고서 설정
원하는 사람들과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보고서를 예약하여 정기적으로 이메일로 받을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면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의 성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트래픽, 사용자 동작 및 변환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고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SEO에 맞추어 글 쓰는 방법 총 정리 (0) | 2023.09.21 |
---|---|
워드프레스란 무엇이며 어떤 기능이 있고, 비용은 얼마나 드는걸까? (1) | 2023.09.20 |
유튜브 제작을 위한 무료음원 사이트 리스트와 추천 사이트 (0) | 2023.09.07 |
LED 모니터 화면 불량 체크방법 (0) | 2023.09.01 |
한성 커브드 모니터 TFG34Q10W 1500R 사용후기 내돈내산 (0) | 2023.08.08 |